Kuby 면역학
Kuby면역학 8판
Immunology
대한미생물학회 공식 지정 교재, 2020 NEW Edition

- • 면역학의 기초 개념을 수록한 전세계 베스트셀러 Kuby Immunology 8판 한글판 출간
- • 면역학의 주요한 연구 내용, 면역작용의 최신 지견 및 임상 적용 수록
- • 40여명의 전국 의과대학 교수진 번역·감수
- 번 역 : 대한미생물학회
- 출간일 : 2020년 3월 2일
- 페이지 : 868쪽, 전면 컬러
- ISBN : 979-11-5943-182-1
- 가 격 : 55,000원
- 구입문의 : 범문에듀케이션 김지현 과장님 / 02) 2654-5131(내선214)
Tabel of Contents
- Chapter 1
- 면역계의 개요
면역학의 역사적 발전
포유 동물의 면역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
면역계의 이로운 점, 불리한 점, 그리고 해로운 점
- Chapter 2
- 면역계 세포, 기관 및 미세환경
조혈과 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
일차림프기관: 면역세포가 생성되는 기관
이차림프기관: 면역반응이 시작되는 기관
- Chapter 3
- 면역의 인지와 반응
면역 수용체-리간드 상호작용의 일반적 성질
면역 항원 수용체 체계
사이토카인과 수용체
세포 신호전달의 이해를 위한 개념적 뼈대
면역반응: 면역계 인지의 결과물
- Chapter 4
- 선천면역
감염에 대한 해부학적 방어체계
세포성 선천면역반응 수용체들과 신호전달체계
선천면역의 작용기전
선천성 림프구 세포들
선천면역과 염증반응의 조절과 회피
선천면역과 적응면역계 간의 상호작용
선천면역의 보편성
- Chapter 5
- 보체계
보체활성화의 주요 경로
보체의 다양한 기능
보체활성화 조절
보체결핍증
미생물의 보체 회피 전략
보체계의 진화론적 기원
- Chapter 6 보체계
- 림프구 수용체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
면역글로불린 유전자 구조의 수수께끼
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다중 유전자 구성
V(D)J 재조합의 기전
B 세포 수용체의 발현
T 세포 수용체 유전자와 발현
- Chapter 7 림프구 수용체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
- 주조직적합복합체와 항원제시
제1형 및 제2형 MHC 분자의 구조와
MHC 유전자의 구성과 유전
MHC 분자의 역할과 발현 양상
항원처리와 전달의 내인성 경로
항원처리 및 전달의 외인성 경로
비통상적 항원처리 및 전달
비펩티드 항원의 전달
- Chapter 8
- 세포 발달
초기 가슴샘세포 발달
양성선택과 음성선택
계통결정
가슴샘으로부터 퇴장과 최종성숙
자기관용을 유지하는 그 밖의 다른 기전
- Chapter 9
- B 세포의 발달 315
골수 내 B 세포 발달
비장에서 B 세포 발달의 완성
B-1 세포 및 가장자리구역 B 세포의 발달과 특성
B 세포와 T 세포 발달의 비교
- Chapter 10
- T 세포 활성화, 조력 아집단 분화 및 기억
T 세포 활성화와 두 신호 가설
조력 T 세포 분화
T 세포 기억
- Chapter 11
- B 세포 활성화, 분화 및 기억 발생
T 세포 의존 B 세포 반응
T 세포 의존적 B 세포 반응: 분화와 기억 생성
T 세포 비의존 B 세포 반응
B 세포의 음성적 조절
- Chapter 12
- 작동 세포 반응: 항체매개면역반응과 세포매개면 역반응
항체매개 작동기능
세포매개면역반응
- Chapter 13
- 장벽 면역: 점막과 피부의 면역학
장벽 면역계에서의 공통 주제
장면역
단계 설정: 장내 면역 항상성 유지하기
급작스런 작동: 침입에 대한 장면역계의 반응
장내세균 불균형(dysbiosis), 염증성 장질환, 만성 소화 장애증
다른 장벽 면역계
- Chapter 14
- 시공간 속의 적응면역반응
건강한 조직에서의 면역세포: 항상성의 유지
항원에 대한 면역반응: 선천면역반응
항원과 림프구의 첫 만남
작동세포와 기억세포의 작용
면역반응의 예
- Chapter 15
- 알레르기, 과민반응 및 만성 염증
알레르기: 제1형 과민반응
항체 매개형(제2형) 과민반응
면역복합체-매개(제3형) 과민반응
지연형(제4형) 과민반응
만성 염증
만성염증
- Chapter 16
- 면역관용, 자가면역과 장기이식
면역관용의 형성과 유지
자가면역(autoimmunity)
이식면역학
- Chapter 17
- 감염질환과 백신
감염을 막는 장벽과 벡터의 중요성
감염 장소와 면역반응의 연관
바이러스 감염
세균 감염
기생충 감염
진균 감염
신종감염병
백신
- Chapter 18
- 면역결핍장애
일차 면역결핍
이차 면역결핍
- Chapter 19
- 암과 면역계
용어와 암 발생
종양항원
암에 대한 면역반응
항암 면역요법
- Chapter 20
- 면역학 연구기법
항체 제작
면역침강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기법
고형 지지물에 부착된 분자를 이용한 항체 검사
항원-항체 반응의 친화력 측정 방법
세포 및 세포 내 구조물의 현미경 관찰을 위한 항체 염색
면역형광 기반 영상 기술
유세포분석과 세포분류
세포주기의 분석
세포사멸의 분석
염색질의 구조 분석
CRISPR-Cas9
실험 동물 연구기법
- 부록 1
- CD 항원
- 부록 2
- 사이토카인과 관련 JAK-STAT 신호전달 분자
- 부록 3
- 케모카인과 케모카인 수용
면역학 간행위원
위원장 | 신전수 |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|
---|---|---|
간사 | 윤상선 |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|
위원 | 박선 |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|
신성재 |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| |
신진욱 |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| |
윤주천 |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| |
이원우 |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| |
장원종 |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| |
최철희 |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| |
한승현 |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|